미국 증시 하락: 연준의 매파적 발언과 관세 분쟁의 영향
금일 미국 증시는 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 속에서 큰 폭으로 하락 마감했습니다. S&P 500 지수는 2.2%, 나스닥 100 지수는 3%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우려가 시장에 반영되었습니다. 이번 하락의 주요 원인과 그 배경을 살펴보겠습니다.
파월 의장의 발언: 금리 인하 지연과 연준 풋 부인
시카고 이코노믹 클럽에서 파월 의장은 관세 분쟁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그는 "연준 풋"에 대한 질문에 단호히 "아니다"라고 답하며 시장의 기대를 일축했습니다. 파월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경제에 미칠 영향을 아직 명확히 알 수 없다고 언급하며, 연준의 이중 목표인 물가 안정과 최대 고용 간 충돌 가능성을 인정했습니다. 그는 두 목표의 괴리를 메우는 데 필요한 시간을 신중히 고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클리브랜드 연은의 벨스 총재도 같은 날 관세 정책의 영향이 명확해질 때까지 금리를 동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비쳤습니다. 이러한 연준의 매파적 스탠스는 투자자들의 매도세를 가속화하며 시장의 불안감을 키웠습니다.
반도체주 급락: 엔비디아와 AMD의 직격탄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 수출 제한 조치 발표는 반도체 업계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특히, 미국 상무부는 엔비디아의 H20 칩의 중국 수출에 대해 무기한 라이선스가 필요하다고 통보했습니다. 이에 따라 엔비디아는 이번 분기 H20 관련 구매 약정으로 인해 55억 달러의 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주가는 6.9% 급락했습니다. 뉴욕 타임즈는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의 고객사인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를 단속할 것이라고 보도하며 매도 압력을 더욱 증폭시켰습니다.
AMD 역시 수출 제한의 여파로 하락세를 면치 못했으며, ASML은 예상보다 부진한 실적 발표로 유럽 시장의 불안감을 키웠습니다. 반도체주의 폭락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 하락에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소매 판매 증가와 관세의 선제적 영향
한편, 미국의 3월 소매 판매는 전월 대비 1.4% 증가하며 2년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자동차, 전자제품 등 다양한 품목의 소비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직전 가격 인상에 대비한 선제적 소비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 지표는 연준의 매파적 발언과 반도체주의 급락으로 인해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습니다.
전문가들의 분석: 불확실성과 시장의 반응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하락의 원인을 연준과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에서 찾았습니다. CR 리서치의 샘 스토벌은 "파월 의장은 투자자들이 우려하던 경기 침체와 고물가 가능성을 확인해줬다"고 분석했습니다. 에보코어의 줄리안 이매뉴엘은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지속될 수 있으며, 연준 풋 기대를 일축한 발언은 시장의 불확실성을 보여준다"고 지적했습니다.
에덤 필립스는 "많은 이들이 연준이 고용을 우선시할 것이라 봤지만, 파월은 물가 안정이 노동 시장 유지의 전제 조건임을 시사했다"고 평가했습니다. FBB 캐피탈의 마이클 베일리는 "관세와 연준의 외면 속에서 반도체주 폭락과 파월 발언의 타이밍은 최악이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웰스파고의 분석가는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이나 트럼프 대통령의 구체적 지원을 기대했지만, 두 기대 모두 실망으로 끝났다"고 전했습니다.
중국의 협상 의지와 시장 전망
중국은 미국 정부의 평화적 발언을 조건으로 백악관과 협상에 나설 의향을 내비쳤다는 보도가 있었으나, 반도체주의 급락과 파월의 매파적 발언이 이러한 소식을 압도했습니다. 투자자들은 연준의 다음 행보와 트럼프 행정부의 구체적 정책 발표를 주시하며 시장의 변동성을 대비하고 있습니다.
결론
오늘 미국 증시의 하락은 연준의 신중한 금리 정책,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및 수출 제한 조치, 그리고 반도체주의 급락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투자자들은 불확실성이 해소될 때까지 변동성 장세에 대비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연준의 정책 방향과 트럼프 행정부의 구체적 조치가 시장의 향방을 결정짓는 주요 변수가 될 것입니다.
'미국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4월 22일(화) 오늘의 미국증시요약 (0) | 2025.04.22 |
---|---|
2025년 4월 18일(금) 오늘의 미국증시요약 (6) | 2025.04.18 |
2025년 4월 16일(수) 오늘의 미국증시요약 (3) | 2025.04.16 |
2025년 4월 15일(화) 오늘의 미국증시요약 (2) | 2025.04.15 |
2배,3배 레버리지ETF를 장기적으로 매매하면 계좌가 녹는다? (2) | 2025.04.12 |